티스토리 뷰


주식투자, 아니 가치투자 서적을 몇 권 읽었지만 사실 투자할 때는 일정한 원칙이 없었다.워렌버핏은 이렇게 투자했다고 하고, 존 템플턴의 책을 보면 이렇고, 필립피셔는 또 어렵고, 랄프웬저는... 그 중에서 이것저것 읽고 배운 대로 투자해서 성과가 나쁘지는 않았지만, 아무래도 뒤범벅이 된 느낌이었다.한 명의 투자대가를 그대로 베껴서 투자하는 것도 정말 아닌 것 같고, 그렇다고 여러 명을 참조하되 원칙없이 섞어서 활용하는 것도 정말 아닌 것 같고.이 책은 기존의 한 명 투자대가에 대한 책들과 여러 명을 나열한 투자대가들 책과 달리, 어느 한 쪽만 파고들지도, 다양한 것들을 여과없이 그저 나열하기만 하지도 않는다.저자가 투자내공이 매우 깊어보이고 투자분야에서 이런저런 역할을 맡을 정도로 능력이 좋아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책의 내용이 매우 구체적인데다가 자신의 의견을 심층적으로 풀어놓고 있다.우선 17명의 투자대가들을 철저하게 가치투자 스타일을 기준으로 삼등분하고, 저평가, 수익성, 성장성 중심 가치투자로 나누어 각 스타일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다. 나는 이것만 해도 참 도움이 되었다.더불어 각 스타일 별로 5~7명의 투자대가들이 사용하는 투자전략, 밸류에이션 지표와 재무비율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왜 그런 지표를 사용했고 해당 전문가의 스타일은 어떤 강점이 있는지 등을 분석해 놓아서 더욱 신뢰감이 갔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애매모호했던 내 투자원칙과 전략이 어떤 투자스타일에 적합한지또한 어떤 투자대가가 롤모델인지 명확해졌고, 내게 맞는 투자스타일과 몇 명의 롤모델을 통해 활용할 수 있는 지표와 비율들은 폭넓고 수준이 좋아졌다.읽은 사람이 안 읽은 사람보다 앞서나갈 수 있는, 돈이 전혀 아깝지 않은 책이다.
역사적으로 검증된 17가지 가치투자 전략들을 가치투자 및 밸류에이션 전문가가 직접 저평가, 수익성, 성장성 중심 가치투자 스타일로 구분하고, 각 투자거장들의 투자원칙과 전략, 주요지표와 공식까지 완벽하게 분석했다.


[ 1부. 가치투자의 본질과 다양한 스타일 ]

1장. 영원한 성공투자의 원칙, 가치투자의 본질
1. 주식투자의 지속적인 성공 조건, 가치투자
2. 가치투자의 본질과 내재가치
3. 가치투자의 복리투자수익과 거래수익, 복합수익

2장. 저평가, 수익성, 성장성 중심의 가치투자 스타일
1. 실전가치투자의 세 가지 스타일 구분과 이유
2. 스타일별 가치투자 전략들의 경계와 투자자 활용법
3. 저평가, 수익성, 성장성 중심 가치투자 스타일의 개요 정리


[ 2부. 다양한 스타일의 가치투자거장들 분석 ]

1장. 저평가 중심 가치투자 스타일 거장 분석
1. 벤저민 그레이엄
- 투자철학 및 스타일
- 투자전략 및 주요 투자공식, 지표
- 류종현 대표이사 심층 코멘트
(이하 구성 동일)
2. 크리스토퍼 브라운
3. 데이비드 드레먼
4. 로버트 퍼킨스
5. 데이비드 윌리엄스
6. 존 네프

2장. 수익성 중심 가치투자 스타일 거장 분석
1. 워렌 버핏
2. 제임스 길리건
3. 윌리엄 나이그렌
4. 존 템플턴
5. 마리오 가벨리
6. 로널드 뮬렌캠프
7. 앤서니 볼튼

3장. 성장성 중심 가치투자 스타일 거장 분석
1. 피터 린치
2. 필립 피셔
3. 랄프 웬저
4. 티 로우 프라이스


[ 3부. 실전가치투자 기반체계와 투자스타일 응용 ]

1장. 실전가치투자 기반체계와 자신만의 투자스타일
1. 정량적 기업분석
2. 정성적 기업분석
3. 실적조정과 재무손익추정
4. 상대가치평가와 절대가치평가
5. 시장평가와 포트폴리오 운용
6. 실전투자체계에 기반한 자신만의 투자스타일 확립


[ 4부. 부록 - 가치투자체계 육성시스템 ]

1. 재무손익, 기타 투자용어 정리
2. 주식투자 체계(격자구조) 및 정통가치투자 공부
3. 실전가치투자 특강 수강증

 

발이 문제야!

코끼리 아저씨는 코가 손, 아빠는 발이 손? 어느 날, 유치원에서 전화가 옵니다. 전화를 받은 엄마는 깜짝 놀랍니다. 뭐든지 발로 하는 민서와 준서의 행동을 친구들이 따라 하고, 집에서도 그러는 바람에 유치원으로 항의 전화가 왔다고 해요. 엄마는 창피함에 어쩔 줄 모릅니다. 이게 다 뭐든지 발로 하는 아빠 때문입니다. 아이들에게 따라 하는 행동은 살아가는 데 필요한 규칙과 방식을 익힐 수 있고, 더 나은 방향으로 자신의 것을 발전시키기 위한 밑거름이 되

iuools.tistory.com

 

일본 호러 걸작선

괴담을 읽으면 그 나라 문화가 읽힌다고 했다. 지리적으로 가깝고 크게는 아시아문화권으로 같이 묶이는 일본의 괴담집을 읽는 것은 한편으론 뻔하고 한편으론 기껍기도 했다. 아무래도 후자는 이해할 수 없는 그들의 사고방식의 일면을 엿본 듯한 느낌이 들어서일 터다. 나는 예전부터 일본 문화에 큰 관심이 없었는데도 들은 풍월이 상당하다. 한때는 내가 의식하지 못한 일본 마니아인가 하는 생각에 반성도 했는데, 일종의 반일정서가 한 번씩 올라오는 것을 보면 잠깐 안

fsergtff.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