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사 요즘은 공무원 시험도 있고 수능에도 한국사가 필수가 되었다 그래서 한국사에 중요성이 예전보다는 확실히 중요하게 느껴지는건 어쩔수 없다시중에 많은 한국사 책들이 있지만 그중에 묻고 답하는 한국사카페 2 이책은 묻는것에 대답해주는 형식으로조금 더 기억에 잘 남는것 같다 이책은 한국사를 배움에 있어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추천한다
이 책은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단원과 비슷한 흐름을 갖되 역사의 핵심적인 사건이나 주제 또는 흐름을 놓치지 않도록 하면서 조선 말기부터 현대까지를 18개의 주제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우리 역사의 쟁점이나 주요 맥락, 우리 역사의 주요 사건과 주제를 한눈으로 통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흥미 위주의 에피소드 중심이거나 다소 딱딱한 연대기적 서술을 피하고 ‘질문과 답’의 형식으로 글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영상 세대인 요즘 청소년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만화’의 형식을 과감히 도입하여 열 줄의 글보다 한 컷의 그림으로 역사적 주제를 설명하고 있다.

Ⅰ 위기의 조선, 근대 국가의 건설로 나아가다

01 흥선 대원군이 가슴속에 품은 야망은?
02 강화도 조약으로 조선의 문은 열리는가?
03 흔들리는 조선, 개화냐 척사냐?
04 동학 농민 운동은 왜 일어났는가?
05 갑오개혁의 내용과 한계는?

Ⅱ 국권을 지키기 위해 일어서다

06 을미년에 과연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07 독립 협회가 만민 공동회를 개최한 까닭은?
08 조선이 대한 제국이 된 까닭은?
09 을사조약 체결에 목숨 바쳐 저항한 까닭은?
10 애국 계몽 운동은 어떻게 전개되었나?
11 개화기에 들어온 근대 문물들은?

Ⅲ 우리 민족은 일제에 어떻게 대항했을까?

12 일제의 통치 방식이 변한 까닭은?
13 기미년 3월 1일, 대한 독립 만세!
14 총칼을 들고 일어선 까닭은?
15 민족 운동은 어떻게 발전되어 갔는가?

Ⅳ대한민국, 새로운 미래를 향해 나아가다

16 한반도는 어떻게 분단되었을까?
17 민주주의는 어떻게 성장했는가?
18 평화 통일을 위하여